본문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HOME 닫기

장례정보

  • 문상객의 옷차림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이다.

    남성문상객옷차림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 현대의 장례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성문상객옷차림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착용하여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 그 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시킨다.
    •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 절하는법

    절의 의미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 (恭敬)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 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공수법 (拱手法)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 -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 -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위치가 다르다.
    • - 공수는 평상시 (平常時)와 흉사시 (凶事時)가 다르다.
    • -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 - 공수는 배례 (拜禮, 절)의 기본동작 (基本動作)이다.
    남녀 공수자세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拱手) 동작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모아서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상시와 반대로 한다.

    남자

    남자 바른자세
    •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주먹을 쥔다.)
    • 공수 (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왼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여자

    여자 바른자세
    •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오므린다.)
    • 공수 (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 문상 할 때의 인사말

    문상시 인사말

    문상 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법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1. 상주의 부모인 경우
    2. 상주의 아내인 경우
    3. 상주의 남편인 경우
    4. 상제의 형제인 경우
    5.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문상시 인사말

    문상객이 먼저 빈소에 곡재배 (哭再拜)한다.

    상주에게 절을 하고 꿇어 앉아 정중한 말씨로 다음과 같은 예를 표한다.

    • 문상객 : 상사말씀 무슨 말씀 여쭈오리까.
    • 상     주 : 모두 저의 죄가 큰 탓인가 봅니다.
    • 문상객 : 대고를 당하시니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상     주 : 원로에 이토록 수고하여 주시니 송구하옵니다.
    • 문상객 : 변환이 침중하시더니 상사까지 당하시니 오죽 망극하오리까.
    • 상     주 : 망극하기 그지 없습니다.

    고례에는 문상객이 망인 및 상주와의 관계에 따라 인사말이 달랐으나, 인사람의 내용이 모두 "슬픔을 위로 위문"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누가 죽었던지 어렵지 않게 "얼마나 슬프십니까?" 라고 하면 된다.

    상주의 대답하는 말도 고례에는 경우에 따라 달랐으나 내용은 한결같이 "슬프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오직 슬플 따름입니다." 라고 대답하면 된다. 조문할 다른 손님이 기다리고 있으면 공손히 물러나고, 만일 한가하면 잠시 다른 위문의 인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주가 피곤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고인이 연하일 경우 문상 방법

    아내의 상 (喪) 또는 제사에는 절을 하나, 자식에게는 절하지 않는다.

    아우, 조카 상에 절하지 않는다.

    친구 부인 상 (喪)이나 이성 사돈 상 (喪)의 경우

    - 평소 인사하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고, 평소 모르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지 않는 것이 옛 원칙이라 하나, 현대에는 두 경우 모두 절한다.

    - 고인에게 절 하는지 여부는 고인이 연하일 경우는 통상 절하지 않으며, 고인이 연상일 경우는 절하는 것이 도리이다.

    ※ 선조들 가운데는 고인의 사망성격 (순직등)에 따라 예우 차원에서 연하 일지라도 절을 하신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예는 현대에도 이어져 시행되고 있다.

    연하인 상주에게 절하는지 여부

    상주 나이가 연하일 경우에는 문상객이 먼저 절하지 않는다.

    어른이 문상시는 상주가 먼저 절을 하면 답례를 할 뿐이다.

  • 문상시 삼가야 할 일

    문상시 삼가해야 할 일

    •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 망인이 연만 (年晩)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 과도한 음주,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